국내 연구진이 면역기능과 관련된 새로운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면역 효과를 높인 백신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다.
KAIST 고규영·이승효 교수팀은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인 ‘T 임파구’가 분비하는 물질(인터페론)이 림프관 생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동물실험을 통해 새롭게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병원균이 몸에 침입하면 면역세포들이 활성화하면서 면역반응이 시작되고, 면역 세포들이 병원균을 물리침으로써 건강이 회복된다. 이 과정에서 병원균 등 몸에 침투한 항원은 림프관을 통해 면역세포로 전해진다. 새로운 림프관이 많이 생성되면 면역반응이 활발해지고 건강 회복도 빨라진다.
연구진은 T 임파구와 인터페론이 결여된 생쥐에 면역 증강제를 투여하자 새로운 림프관이 급격하게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고 교수는 “T 임파구의 인터페론을 적절히 조절하면 면역 기능을 효과적으로 증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예방과 치료에 효과를 지닌 백신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셀(Cell) 자매지로 면역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이뮤니티(Immunity)’ 20일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