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확산으로 기업의 80%가 연구개발(R&D) 활동에 차질을 빚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43%는 자금 부족을 느끼고 36%는 제품이나 부품 공급난을 겪고 있었다. R&D 투자와 연구인력 채용 축소를 고려하고 있는 기업도 40%가 넘어, 전반적인 기업 R&D가 위축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코로나19 위기상황에 대응한 기업 R&D 활동 실태조사’ 결과를 19일 공개했다.
산기협은 11~16일 국내 연구소 보유기업 1490개사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사태 이후 R&D 활동 현황을 조사했다. 조사 기업에는 대기업과 중견기업이 58개사, 중소 및 벤처기업이 1432개사 포함돼 있었다.
조사 결과 코로나19 사태로 응답기업의 79.8%가 R&D에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고 답했다. 가장 큰 영향은 국내외 출장 제한으로 기술세미나 등 R&D 활동에 차질이 빚어진 것이 꼽혔다. 전체 기업의 58.9%가 국내 출장, 39.1%가 국외 출장에 제한이 많다고 답했다. 기업 경영 환경 악화에 따른 자금 부족도 42.7%가 느끼고 있었다. 이들은 R&D 과제를 줄이거나 축소했다. 35.8%는 제품과 부품 공급난을 겪고 있고 26%는 감염과 자가격리 등으로 연구인력 공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D 투자와 연구원 채용도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의 47.7%는 올해 초에 비해 R&D 투자를 축소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41.3%는 연구원 채용도 축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기업 규모에 따라 R&D 계획은 다소 달랐다. 대기업 및 중견기업은 34.4%만이 투자를 줄이겠다고 답했고, 36.2%만 연구원 채용을 줄이겠다고 답했다. 반면 중소기업은 절반에 가까운 48.2%가 R&D 투자를 줄이겠다고 답했고, 41.6%가 연구원 채용을 줄이겠다고 응답했다.
기업들은 R&D 활성화를 위해 한시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국가 R&D지원사업 참여 기업의 현금 부담률을 낮추자는 의견에 72.8%, R&D 자금을 지원하자는 의견에 67.8%가 동의했다. 과제 기간을 한시적으로 연장하자는 의견에는 64.6%, R&D 비용에 대한 세액공제율을 상향 조정하자는 의견에는 58.9%가 동의했다.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직접 만나지 않고도 R&D 협력을 지원할 수 있게 해달라는 의견에도 51.3%가 공감했다.

마창환 산기협 상임부회장은 “코로나19로 기업의 미래를 준비하는 R&D 활동이 제약받고 있다”며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책을 마련해 2차 추경에 반영하는 등의 빠르고 적극적인 정부 대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마 부회장은 “디지털 기반의 R&D 협력 플랫폼 구축 방안도 논의를 시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