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소재·부품·장비산업 분야 기업들은 미·중무역 갈등과 일본 수출규제로 발생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향후 2~3년간 경영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했다. 중소기업들은 자체 연구개발(R&D)을 통해 국산화를 이뤄 이를 극복하고 있으며 정부가 내놓은 소부장 대책 중에는 세제지원이 가장 유용하다고 답했다. 한편 정부의 소부장 대책을 모르거나 알아도 활용하지 않는다고 답한 기업이 10곳 중 9곳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업기술협회는 지난달 17일부터 30일까지 소재·부품·장비산업 분야 연구소 보유기업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따른 소부장 기업 R&D 대응 현황조사’결과를 이달 27일 발표했다. 설문에는 대기업과 중견기업 22개사와 중소기업 417개사 등 총 439개사가 참여했다.
기업 중 55.2%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기업경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긍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 응답한 기업도 44.8%였다. 영향이 지속되는 기간에 대해서는 2~3년이라는 응답이 41.2%로 가장 높았다. 5년 이상이라는 응답도 20.3%였다.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68.2%가 지속기간을 3년 이내로 봤으나 중소기업은 48.7%만 3년 이내 영향을 받을 것이라 답했다.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영향받는 기간이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망 재편에 따른 어려움으로는 원자재 수급애로와 생산가동 중단 및 지연이 40.5%로 가장 많았다. 수출입 지연과 중단이 31.4%로 뒤를 이었다. 이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국내 대체 공급선 확보가 우선순위라는 응답이 27.6%였다. 극복방안으로 자체 R&D를 통한 국산화를 제시한 기업도 21.4%였다.
일본 수출규제 이후 지난 1년간 국내 소부장 산업 기술경쟁력 변화를 묻는 질문에 69.7%가 기술경쟁력이 강화됐다고 답했다. 강화요인으로는 정부의 소부장 관련 기술 R&D 지원정책 강화가 58.5%로 가장 높았다. 소부장 기술확보 중요성 인식 조성이 41.7%, 공급기업의 자발적 R&D 강화가 32.8로 뒤를 이었다.
정부 지원 중에는 세제지원이 가장 유용하다고 답했다. 정부가 추진중인 소부장 R&D 대책 유용성에 대해 83.2%가 세제지원이 유용하다고 답했다. 기술개발과제 지원이 78.6%로 뒤를 이었고 가상 시뮬레이션 R&D 플랫폼 구축 등을 지원한 인프라 지원이 66.5%로 뒤를 이었다.
그럼에도 90%가 넘는 기업이 정부 대책을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중 57.2%는 정책을 인지하고 있어도 활용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내용을 모르고 활용하지 않는다고 답한 기업도 29.8%에 달했다. 이유로는 지원 조건의 까다로움을 든 경우가 36.4%로 가장 많았다. 정책에 대한 정보부족을 든 경우도 24.3%였다.
마창환 산기협 상임부회장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은 우리 기업이 경쟁우위 부분에서 초격차를 벌리고 경쟁력이 약화되었던 부분은 글로벌 경쟁력을 회복하는 기회가 될 수 있으므로 중소기업의 기술력이 성장하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중소기업 R&D의 질적성장을 돕고 한편으로는 기업의 R&D기획을 지원해 시장성과 사업성 높은 기술개발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