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줄 요약 1. 자식작용으로 세포 속 노폐물을 제거하는 리소좀의 기능이 약해지면 세포에 노폐물이 쌓여 노화와 퇴행성 신경질환으로 이어진다. 2. 국내 연구진이 ATM 단백질의 지나친 활성화가 자식작용 기능 저하의 원인이며, KU-60019라는 단백질로 이를 조절할 수 있음을 밝혔다. 3. 노화 세포를 되돌려 회춘시키는 약을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었다. 국내 연구진이 노화해 기능을 상실한 세포를 다시 젊게 만드는 ‘회춘 약’ 후보 물질을 찾아냈다. 세포의 노화 회복을 유도하고 노화 관련 질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박상철 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