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
피해자를 비난한다니, 언뜻 들으면 잘 이해되지 않는 말이다. 가해자가 버젓이 있는데 왜 피해자를 비난할까? 하지만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사건에 따라 피해자보다 가해자의 입장에 더 많이 공감하고 피해자를 비난하는 모습을 보인다. 특히 성폭력 사건에서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다. 다음의 문항들을 살펴보자. - 여성으로 하여금 자신의 의사에 반하는 성관계를 갖도록 강압하는 것은 어떤 상황에서도 용납될 수 없다 VS 어떤 상황에서는 용납된다 - 성폭력 사건의 잘잘못을 판단할 때 피해자보다 가해자의 과거 행적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VS...
성폭력을 피하려면 밤길을 조심하라는 등의 조언을 한다. 낯선 곳에서 수상한 낯선 사람이 저지르는 범죄라는 인식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현실과 다르다. 밤길보다 집, 학교, 직장이 더 위험하다. 성폭력의 약 60-80%가 낯선수상한 사람보다는 가족, 친척, 학교나 직장동료, 연인이나 배우자 등 일상 속의 ‘아는 사람’에 의해 일어나기 때문이다. 약 30개국을 대상으로 한 2004-2005 UN 조사 결과에서는 성폭력 가해자 중 전 남편이나 남자친구가 11%, 학교나 직장 상사가 17%, 현재 파트너가 8%, 친한 친구가 16%를 차지했다 [1]. 미국 NIJ...
성폭력은 보통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당사자의 의지와 상관 없이 신체적 힘 또는 권력 등을 이용해 원치 않는 성적 관심을 쏟거나, 신체 부위를 만지거나, 성적 행위를 강요하는 모든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행위”. 성폭력은 욕구의 해소 못지 않게 타인의 몸과 마음을 통제함으로써 통제감 또는 권력감(자신이 영향력이 있는 사람이라는 느낌)을 얻으려는 행위이기도 하다. 일례로 자신이 사람들로부터 꽤 인기 있고 영향력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는(높은 권력감) 남성들보다 그렇지 않은 남성들이 이전에 사귀었던 여성들에게 강압적이고 폭력적...
사이버 불링 등 학교 폭력은 점점 진화하고 있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아직 많은 조명을 받지 못한 형태의 폭력이 있으니 성적 폭력(sexual harassment)이 바로 그것이라고 한다. 청소년기 중에서도 10대 초반 무렵은 2차 성징이 나타나며 성적 성숙을 급격하게 겪는 시기다. 이 시기는 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 시기이면서도 사회에서 아직 ‘어리다’며 성에 대한 지식을 억압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10대 후반의 청소년들이 겪는 성적 폭력들에 대한 연구들은 비교적 많은 반면 10대 초반 아이들이 겪는 폭력에 대한 연구들은 아직 많지 않은 추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