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매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자동차에 들어가는 배터리는 대부분 원형이나 사각형을 띤다. 제작 공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형태를 일정하게 제한한 것이다.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가 등장하면서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 형태도 함께 더 다양해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KAIST 신소재연구공학과 김일두 교수와 미국 하버드대 연구진은 19일 사물을 입체로 찍어내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를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다양한 형태를 띠는 배터리를 만들기 위해 전하를 운반하는 리튬이온 대신 아연이온을 사용...
참깨로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는 사료나 비료로도 쓰이지만 대부분 바로 폐기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렇게 버려지는 참기름 찌꺼기에서 항암물질을 대량으로 뽑아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송경모 한국식품연구원 가공공정연구단 선임연구원 연구진은 7일 초음파 기술을 활용해 참기름 찌꺼기 추출물에서 항암물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참기름 찌꺼기에는 단백질과 식이섬유, 무기질과 같은 영양소가 풍부하다. 항암효과가 있는 항산화 물질인 리그난 성분도 다량 함유돼 있다. 리그난은 여성호르몬인 식물성 에스트로겐...
현대인들의 자외선차단제 사랑은 유별납니다. 365일 맑을 때나 흐릴 때나, 어떨 때는 두 시간에 한 번씩도 바르곤 하니까요. 하지만 이렇게 애용하는 자외선차단제를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미국에선 사용자의 절반이 라벨의 의미조차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는 재밌는 통계가 있던데요. 몰라도 잘 살지만 알아두면 쓸모 있는 신비한 자외선차단제 선택법을 지금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 Step 1 차단 자외선차단제를 고를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이 바로 차단 효과입니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자외선A(320~400nm), 자외선B(280~320nm), 자...
“내 조국 이스라엘로부터 이 제안을 받고 나는 깊은 감동을 느낌과 동시에 한편으로는 이 제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사실에 슬픔과 부끄러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나는 지금까지 줄곧 객관적인 문제만을 다루어 왔습니다. 때문에 사람을 적절히 다루고 공적인 직무를 수행해 나갈 타고난 재능과 경험이 모두 부족합니다.” 1952년 73세의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신생국 이스라엘의 2대 대통령이 되어 달라는 제안에 대한 답신에서 이렇게 쓰고 있다. 사물의 관계에 천착한 과학자로서 사람 사이의 얽히고설킨 정치와 행정을 이끈다는 건 능력 밖이라는...
국내 연구진이 수명이 다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간단히 씻어서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정현석 성균관대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상온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재활용 공정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광 흡수층의 흡광도가 뛰어나 500㎚(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이하의 두께에서도 광전환효율이 22%에 이른다. 같은 두께의 실리콘 태양전지를 뛰어넘는 효율을 자랑할 뿐 아니라 고압·고온의 값비싼 공정도 필요 없어서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수명이 다...